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다보면 사이트마다 주소탭에 사이트를 상징하는 심볼마크를 가지고 있다. 티스토리의 경우 주황생 원형에 'T'가 들어가져 있고 이러한 마크를 '파비콘(Favicon)'이라 부른다. 필자는 이전 포스팅에서 파비콘의 정의와 이미지파일을 파비콘 확장자인 Ico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해 자세히 소개한적이 있고 이헤대해 궁금한 점은 해당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랍니다.(바로가기>>>) 오늘은 파비콘을 실제 웹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합니다. 웹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분이라면 웹 사이트 제작시 반드시 이용하게되며 웹 개발을하지 않더라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분들에게도 블로그 관리와 관련된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즐겨찾기/주소 탭 아이콘 적용하기 - 파비콘 적용을 통한..
파비콘(Favicon)은 Favorites와 Icon의 합성어로 '즐겨찾기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즉, 즐겨찾기 추가시 등록되는 조그만한 아이콘을 말하며 주소창 탭에 조그만한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파비콘(Favicon)은 일반적으로 .ico확장자를 가지며 이는 Icon의 약자를 나타냅니다. 주로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포토샵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지만 파비콘(Favicon)의 경우 이미지 파일이 아닌 아이콘 파일이기에 포토샵으로 이미지 파일을 ico확장자로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파비콘과 이미지 파일(.png)을 아이콘 파일(.ico)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PNG파일 ICO파일로 변환하기 - 파비콘 만들기 앞서 파비콘(Favicon..
- Total
- Today
- Yesterday
- c언어 연습문제
- 파비콘 만들기
- 한컴 오피스
- 파이썬
- 검색 등록
- c언어
- 구글 검색등록
- 블로그 활성화
- 샤오미
- javascript
- 반복문
- 프로그래밍 배우기
- 웹페이지 제작
- 파비콘
- 서비스센터
- 프로그래밍
- 카카오링크
- 다이아몬드 만들기
- html5
- 윈도우 단축키
- 보조배터리
- pasilda
- 실습예제
- math.h
- 윈도우10
- 구굴 RSS등록
- 별찍기
- 정렬 알고리즘
- cpp
- 제어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